AI 탐구노트

대만의 한파 피해 :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닥치는 충격의 위험성 본문

생각하며 살기

대만의 한파 피해 :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닥치는 충격의 위험성

42morrow 2025. 2. 11. 08:50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상치 못한 변화에 대한 대비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어제 대만에서 발생한 급격한 한파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한국만 추운 게 아니었다…'온돌 없는' 아열대서 하룻새 78명 사망 - 아시아경제

겨울 평균 기온이 영상 10도 중반인 대만에 '북극발 한파'가 밀려와 하루 만에 78명이 숨졌다. 9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은 각 지자체 소방국 자료를 인용해 전날...

www.asiae.co.kr

 

작년 딱 이맘때에 다녀왔던 적이 있다보니 다소 믿기지 않는 소식이었습니다. 그 따뜻한 나라에서 한파로 하루에 78명이 사망했다고? 도대체 얼마나 추웠길래... 싶었죠. 그런데 기사 내용을 보면 정확한 기온 정보는 없지만, 대략 영상 5.4도 (마쭈지역 기준)에 체감으로 영상 1~2도 수준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영하 10~15도를 오가는 우리나라 한파와는 사뭇 달랐습니다. 하지만, 2월 평균 기온이 15~17도( 타이페이 기준)라고 하니 아, 그럴 수도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대만이 아열대 기후에 속해 워낙 따뜻하고 습한 날씨다 보니 평소에 한파에 대한 대비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이죠. 이 때문에 대만에서는 농작물 피해, 수도관 동파, 전력 공급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고 안타깝게도 많은 인명 피해까지 생긴 거였습니다. 우리나라처럼 혹한, 혹서가 오가는 상황이면 추위, 더위 둘 다 대비하는 것이 기본이겠지만 열대, 아열대 기후처럼 매년 거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기 어렵겠다 싶었죠.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닥치는 충격의 위험성

대만에서의 이번 한파 피해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바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닥치는 충격의 위험성'이죠. 

 

이번에 발생한 급격한 한파와 같은 자연 현상과 마찬가지로, 기술 분야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의 발전은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산업 전반의 생산성 향상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AI 기술을 통해 경제의 새로운 엔진을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중이며, 중국 역시 AI 기술 개발과 보조금 정책을 통해 AI 산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우리라고 예외가 될 수 없겠죠. 

 

하지만 이러한 기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AI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에 대비하고, 그 혜택을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정치적, 사회적 혼란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미래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질 수 있는데요. AI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면, 우리는 또 다른 충격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은 일자리의 성격을 바꾸고, 단순 반복 작업을 대체하며, 창의적이고 고소득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지 않는다면,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아니... 이미 심화되어 있는 사회적 불평등이라는 불에 기름을 더 끼얹게 될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교육 및 인재 양성 : AI 기술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관련 인재를 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변화를 대비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AI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도는 높아져 있고 교육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정책 및 제도 마련 : AI 기술의 발전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도록 관련 정책과 제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국민이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국내에선 대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기술 스타트업들간의 생태계가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제도가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 사회적 대화 : AI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변화에 대해 사회적 대화를 촉진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변화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급격한 변화'에는 갈등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 이를 조율하고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가는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겁니다. 

마지막으로, 예상치 못한 변화는 언제든지 우리에게 닥칠 수 있습니다. 자연재해든 기술 혁신이든, 우리는 항상 대비하고 준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미래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