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픈AI
- 트랜스포머
- 오블완
- 자연어 처리
- tts
- 휴머노이드 로봇
- AI
- ChatGPT
- 다국어 지원
- 실시간 렌더링
- OpenAI
- PYTHON
- LLM
- 이미지 생성
- 강화학습
- 메타
- Stable Diffusion
- 확산 모델
- 오픈소스
- 감정 표현
- 멀티모달
- 일론 머스크
- 우분투
- 인공지능
- 딥러닝
- 강화 학습
- 티스토리챌린지
- 생성형AI
- XAI
- AI 기술
- Today
- Total
목록AI 관련 소식 (190)
AI 탐구노트

' 어제까지만 해도 아이와 함께 웃으며 보았던 귀엽고 재미난 동물 영상. ‘세상엔 정말 별일이 다 있구나’ 하며 즐겁게 즐거워했는데, 오늘 아침 X에서 그 영상들이 AI 생성 콘텐츠 중 하나라는 글을 보았을 때의 당혹감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습니다. AI 영상 생성 기술이 등장하기 훨신 전에도 세계의 신기한 영상들을 많이 봐왔었고 그런 것들 가운데 하나라는 것에 일말의 의심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속에서 느낀 재미와 감동은 ‘진짜’였는데, 그 대상이 ‘가짜’였다는 사실은 묘한 배신감마저 들게 합니다. 이런 감정이 단순한 기술 발전에 뒤따르는 개인의 적응 문제로 치부되어도 되는 걸까요? '네가 시대의 흐름에 뒤쳐져서 그래'라고 말이죠. 🎥 AI 영상의 퀄리티, 이젠 '진짜보다 더 진짜'사실 ..

7월 마지막 주에 나온 소식들 중 일부를 정리해 봤습니다. 1️⃣ 국내 소식삼성전자 : 테슬라가 자사의 AI칩인 AI6의 제조/생산을 맡겼습니다. 최소 23조 규모로, 이 계약으로 위기에 처해있던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다시 살아나게 되었습니다. 퓨리오사AI : 17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시리즈 C 브릿지) 완료하며 기업가치 1조원을 넘어서 명실상부한 유니콘 기업이 되었습니다.국내 기업들의 LLM 공개 NC AI : 경량 VLM 바르코 비전 2.0-1.7B를 공개했습니다. 카카오 : 이미지 이해 및 지시 이행능력을 보유한 'Kanana-1.5-v-3b'와 MoE 모델인 'Kanana-1.5-15.7b-a3b'를 공개했습니다. LG : 엑사원 4.0 32B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SK텔레콤 : A...

2025년 7월, 미국 백악관은 ‘America’s AI Action Plan(미국 AI 액션 플랜)’ (링크)을 공식 발표하며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습니다. 이번 전략은 AI 기술 개발을 넘어 인프라·노동시장·국제외교·국가안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미국은 이를 통해 AI를 산업혁명, 정보혁명, 디지털 르네상스를 동시에 실현할 핵심 동력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중국의 기술 굴기를 견제하고 동맹국 중심의 기술 블록 형성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AI Action Plan의 내용🔵 개요 및 배경목표 : 미국의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글로벌 지배력 확보비전 : AI를 통한 산업혁명, 정보혁명, 르네상스를 동시에 달성기반 철..

xAI가 Grok4를 공개한 것이 7월 9일이니까 한참 지난 소식인데 다소 소개가 늦은 감이 있습니다.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은 생각에 요약 형태로 짧게 작성해 두는 것이니 양해 부탁 드립니다. ^^ ; Grok4 항목세부 내용출시일미국 기준 2025년 7월 9일 (한국 기준 7월 10일)에 공식 발표됨모델 구성Grok 4 (단일 에이전트) : 논리적 추론, 수학, 텍스트 이해 등Grok 4 Heavy (멀티‑에이전트 강화형 모델) : 에이전트 간 협력으로 문제 해결요금제Grok 4: $30/월Grok 4 Heavy는 SuperGrok Heavy 요금제에서 이용 가능 (월 $300)벤치마크 성능Humanity’s Last Exam: 25.4% → Heavy 사용 시 44.4% 수준 등 성능 우수AR..

카카오가 ‘Kanana-1.5‑v‑3b’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와 ‘Kanana-1.5‑15.7b‑a3b’ (MoE·Mixture of Experts 언어모델)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이번 공개는, 카카오가 지난 5월 발표한 4종 모델에 이어 불과 두 달 만의 추가 공개이며인데 독자적 모델 설계 및 기술 경쟁력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로 보입니다. 경량화, 멀티모달 처리, 지식 증류, Humans-in‑the-loop 학습 등과 같은 키AI 분야 키워드가 함께 적용된 사례이기도 합니다. MoE 타입의 모델의 오픈소스 공개는 처음인 것 같은데 제 기억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기존 공개된 AI 모델(특히 한국어 기반)은 주로 큰 규모의 Dense 구조 모델이었으며, 이들은 추론 시 모든 파라미터가 활..

유튜브 민티저 채널에 재미난 내용이 올라와서 간접 소개해 볼까 합니다. 내용은 중국 알리바바에서 Nvidia Tesla K80 GPU를 중고로 8만원 대에 샀는데 그 제품에 대한 리뷰를 한 것이었습니다. Nvidia Tesla K80이란?Nvidia Tesla K80 GPU는 2014년에 11월 경에 출시된 데이터센터용 HPC용 그래픽 카드였습니다. Kepler 아키텍처 기반의 GPU가 사용되었는데 한 카드에 2개의 GPU가 듀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CUDA 코어는 4992개 (각 2496 x 2 GPU)에 메모리는 24GB (12GB x 2GPU)이고 300W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이었습니다. 성능은 FP32 기준으로 8.74TFLOPS (개별 4.37TFLOS x 2 GPU) 수준이었죠. ..

OpenMed와 380+ 의료용 NER 모델 공개OpenMed라는 이름으로, 의료 및 임상용 텍스트에서 엔티티(질병, 약물, 유전자 등)를 식별하는 NER(Named Entity Recognition) 모델 380여 종이 Apache 2.0 라이선스 하에 무료 공개되었습니다. 상용 솔루션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보이며, 투명성과 접근성을 확보함으로써 의료 AI 연구 및 응용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목표입니다. 높은 사용료, 블랙박스 시스템, 기술 고도화의 지연, 소수 플레이어 중심 구조 등의 문제로 일반 연구자나 소규모 기관의 접근이 어려웠던 의료 모델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했습니다. 참고) NER 란? 1️⃣ NER (Named Entity Recognition, 명명 엔티티 인식)문장에서 특정..

어제 (현지 기준 7월17일) OpenAI는 ChatGPT Agent (통합 에이전트)를 공개했습니다. (링크) 지난 번에 Kimi K2 모델의 공개 당시 OpenAI의 발표 연기 소식이 있었고 생각보다 강력했던 Kimi 때문에 이번 공개 일정이 연기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일기도 했었습니다. 어찌됐건 최종적으로 혁신적인 서비스가 공개됐고 이번 글은 그 소식을 간단하게 정리해서 알려 드립니다. ChatGPT AgentOpenAI가 2025년 7월 17일 새로 공개한 ChatGPT 에이전트는 단순한 챗봇을 넘어 사용자의 가상 컴퓨터를 직접 조작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 주는 일종의 ‘지능형 비서 또는 지능형 도우미’입니다. 웹 브라우저 클릭, 터미널 실행, 캘린더 확인, 슬라이드 제작 등 다양한 기능을 하..

Voxtral 이란? 지난 몇 년간 OpenAI의 Whisper는 오픈소스 음성 인식 분야에서 사실상 챔피언이었습니다. 복잡한 발음이나 다양한 억양을 높은 정확도로 인식하며, 많은 개발자와 연구자, 심지어 유튜브 자막 제작자까지 폭넓게 활용해왔습니다. 그리고 상당 수의 오픈소스 기반 ASR (음성인식) 솔루션이 이것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Whisper는 어디까지나 ‘전사(transcribe)’에 강한 모델이었습니다. 즉, 말을 글로 옮기는 일에는 탁월했지만, 그 ‘의미’를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주자가 등장했습니다. Mistral AI의 Voxtral, 그것도 오픈소스로요! 😍 Whisper의 강력한 대안이면서, 진정한 차세대 음성 AI의 기준점으로 등장한 이 기술은, 전사에서 멈..

META CEO 마크 저커버그가 대규모 GPU 컴퓨팅 클러스터 구축에 수천억 달러를 지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에는 데이터센터 구축, GPU 구매, 전력,네트워크 인프라, 인재 채용 등을 위한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메타의 데이터 센터 로드맵메타가 계획하고 있는 데이터 센터 구축과 관련된 것만 언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Prometheus : 1GW 규모, 2026년 가동 예정, 오하이오 주에 조성 중 - Hyperion : 최대 5GW까지 확장 가능. 루이지애나주에 조성 중 - 이외에도 Titan 이라는 대형 클러스터를 복수개 운영할 계획 데이터 센터 규모가 너무 큰거 아닌가? 공개된 계획 상의 규모가 실로 어마어마합니다. 텍사스 오스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