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I 기술
- OpenCV
- 딥러닝
- ai 챗봇
- LLM
- 강화 학습
- 티스토리챌린지
- 시간적 일관성
- 실시간 렌더링
- 휴머노이드 로봇
- OpenAI
- 멀티모달
- 오블완
- XAI
- ChatGPT
- 메타
- AI
- 확산 모델
- 오픈소스
- 인공지능
- 우분투
- 자연어 처리
- LORA
- 일론 머스크
- 생성형AI
- 다국어 지원
- 트랜스포머
- tts
- 오픈AI
- PYTHON
- Today
- Total
목록AI 관련 소식 (169)
AI 탐구노트

카카오의 SLM 카나나 (Kanana) 공개드디어 카카오가 카나나 1.5 버전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작년 10월 'if(kakaoAI) 2024' 행사에서 소개된 AI 에이전트로 소개(링크)되었었고, Nano 2.1B 모델은 올해 2월에 공개된 바 있었습니다. 이후 정식 버전은 언제쯤? 하며 기다려왔었는데 드디어 공개된 것입니다. 올해 5월 초에는 정식 출시에 앞서 한정된 이용자 대상으로 비공개 테스트 (CBT)를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긴 해서 조만간 공개가 되겠지 하는 생각은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빠른 시기에 오픈을 했네요. 오픈소스 공개된 Kanana 버전이번에 공개된 카나나 버전은 아래의 4 종입니다. 이 버전들은 Hugging Face(링크)에서 접할 수 있습니다. 1.5-8b-..

최근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전 세계 최초로 모든 시민과 거주자에게 ChatGPT Plus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한 것입니다. 이는 OpenAI의 공식 사이트에서도 UAE와의 파트너십과 관련되어 소개된 바 있습니다. (링크) Everyone living in Dubai will soon get free ChatGPT Plus subscriptionPeople living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will soon be able to use ChatGPT Plus for free. This makes the UA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give free access to the premium version of Chat..

구글 I/O 2025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이번 행사에서 워낙 많은 기술과 제품이 소개되었는데 그 가운데 제 관심을 많이 끈 제품 중 하나는 구글의 스마트 글래스였습니다. 세련된 디자인과 최첨단 AI 기술이 결합된 이 스마트 글래스는 단순한 안경을 넘어, 우리의 일상을 완전히 바꿀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주 가까운 미래는 아닐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스마트 글래스의 주요 특징과 경쟁 제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 혁신적인 기기가 가진 매력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글 스마트 글래스: 어떤 특징이 있을까?구글은 이번 I/O에서 Android XR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글래스를 공개하며, 기술과 스타일의 완벽한 조화를 선보였습니다. 특히, 유명 안경 브랜드들과의 협업으로 기..

Google I/O 란?Google I/O는 구글(Google)이 매년 개최하는 개발자 컨퍼런스로, 최신 기술, 제품, 서비스를 발표하고 개발자 커뮤니티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혁신을 공유하는 행사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 : 안드로이드, Gemini AI, 클라우드, 웹, XR(확장 현실) 등 구글의 최신 기술 업데이트와 API, 개발 도구를 소개하며, 개발자들이 이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주요 발표: 새로운 AI 모델(예: Gemini 2.5), 안드로이드 OS 업데이트, 생성형 미디어 도구(예: Veo, Flow), 개발자 도구(예: Jules Code Assistant), 하드웨어 협업(예: Android XR) 등형식 : 키노트 세션, 기술 워크숍, 데모,..

오픈AI에서 최근 개발자를 지원하기 위한 AI 기술을 새로 공개했습니다. 프로그래밍 자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나 바쁜 개발자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되는 AI 도구로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odex가 뭔지, 어떻게 쓰는지 등에 대해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Codex란 무엇인가요?Codex는 OpenAI에서 만든 인공지능(AI) 코딩에 특화된 AI 입니다. 다양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파이썬, 자바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등)를 지원하고, 복잡한 작업도 처리할 수 있죠. 🔧 Codex는 어떤 곳에 사용될 수 있나요?코드를 자동으로 작성예: '간단한 계산기 앱을 만들어줘'라고 말하면, Codex가 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 12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코드를 짜주고 ..

❓️Super Sensing은 어떤 기술인가요? 메타(Meta)가 개발 중인 새로운 스마트 안경 기능, '슈퍼 센싱(super sensing)', 들어보셨나요? 말 그대로 '모든 것을 기억하는 초감각'을 가진 스마트 안경입니다. 이 기술은 하루 종일 카메라와 센서를 켜두고, 사용자가 겪은 일들을 AI가 기억하는 기능을 포함합니다. 📹️ 지금도 유튜버들이 고프로나 Cam365 등을 이용해 하고 있지 않나요? 맞습니다. 지금도 일상을 그대로 촬영하고 이를 편집해서 유튜브 영상으로 올리시는 분들이 많이 있죠. 그런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일부만 빼면 말이죠. 카메라와 센서가 있다면 실제로 영상과 음성을 획득하고, 저장장치가 있다면 기억하는 것이 가능할테니 기존에도 이와 유사한 기술이나 제품이 없었던..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이미지는 놀라운 품질과 세밀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확산 모델(diffusion model)의 등장 이후, 원하는 스타일이나 구체적인 특징을 반영한 이미지 생성이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자가 '이 사람은 이 스타일로', '이 배경은 이 인물과 함께' 같은 복잡한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려 할 때는 여전히 많은 제약이 따랐습니다. 기존 기술들은 보통 하나의 특성(예: 얼굴, 옷, 스타일 등)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입니다. 이런 한계를 넘어, 여러 조건을 한 번에 만족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ByteDance와 북경대학교 연구팀이 제안한 'DreamO'입니다. DreamO는 하나의 모델 안에서 다양한 조건(인물, 스타일, 배경..

혹시 법정 드라마를 보면서 '나 대신 똑똑하고 말 잘하는 사람이 변론해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 그런 사람이 변호사이긴 하죠. 하지만,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변호사들과 실제 법정에 가서 보게 되는 변호사들은 사뭇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구경가서 경험했었던 재판장에서는 사무적이고, 쟁점을 두고 논쟁을 하기보단 이미 재단되어 있는 형량이나 판결 내용에 추가로 재판장의 아량을 구하는 모습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판단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AI 아바타, 소송의 새로운 대변자실제로 법정에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법전과 판례를 분석하는 데 주로 활용되던 AI가 이제는 소송 당사자를 대신하는 아바타로 법정에 서며 재판의 판도..

오픈AI의 갑작스런 공익법인 체제전환 발표오픈AI가 비영리와 영리의 경계를 허무는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체제로 전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오픈AI, 공익법인 구조로 전환…인공지능 민주화 실현 위한 거버넌스 재정립 - 인공지능신문설립 당시 인공지능(AI)의 공익적 사용을 핵심 사명으로 내세워온 오픈에이아이(OpenAI)가 조직 구조 전면 개편을 단행하며, 수익과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체www.aitimes.kr 현재 오픈AI는 일론 머스크로부터 비영리 지위 관련 소송을 당했으며 미국 규제 당국의 압박이 계속 진행 중인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이번 발표는 그런 와중에 나온 중대한 결정인 셈인..

AI 무기, 영화 속 상상이 현실로?2005년 개봉한 영화 '스텔스'(링크)에서는 인공지능 전투기 EDI가 자아를 갖고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당시에는 공상과학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현실에서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전장에서, AI가 탑재된 드론이 자체 판단으로 인간을 살상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명령 없이 자율적으로 공격 결정을 내린 첫 사례로,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2024.3.31)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의 전자전 방해를 극복하기 위해 AI 드론을 개발했으며, 이 드론은 재밍(전자전 방해)에 의해 통신이 끊긴 상황에서도 자율적으로 적군을 식별하고 공격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그 전까지는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