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ORA
- 멀티모달
- 딥러닝
- 트랜스포머
- LLM
- 인공지능
- 시간적 일관성
- 우분투
- tts
- 일론 머스크
- 확산 모델
- 휴머노이드 로봇
- ChatGPT
- 다국어 지원
- 아두이노
- TRANSFORMER
- OpenAI
- 오픈AI
- 티스토리챌린지
- AI 기술
- OpenCV
- 이미지 생성
- 오픈소스
- 실시간 렌더링
- 메타
- 생성형 AI
- AI
- 오블완
- PYTHON
- 강화 학습
- Today
- Total
목록AI 관련 소식 (149)
AI 탐구노트

영화 제작은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에 혁신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 기반의 아이디어를 시각적인 이미지나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술은 창작자들에게 단순한 영감을 주는 차원을 넘어서 이제까지 해 왔던 작업들을 어떤 식으로 혁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영화를 제작하는 사례에 대한 소개와 이를 위한 도구 가운데 하나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I가 영화 제작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나?AI가 영화 제작에 활용되는 방식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전 분야 다'라고 할 수 있겠죠. 디렉팅을 하는 감독과 연출을 제외한 나머지는 거의 대부분이 대체될 수 있는 ..

메타(Meta)는 최근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 시리즈인 Llama 4를 발표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Llama 4 Scout, Llama 4 Maverick, 그리고 아직 훈련 중인 Llama 4 Behemoth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략하게 Llama 4 모델의 출시 소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Llama 4의 모델 구성모델 이름총 파라미터 수활성 파라미터 수주요 특징Llama 4 Scout109B (1,090억)1.7B (17억)단일 H100 GPU에서 실행 가능, 1,000만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 지원Llama 4 Maverick400B (4,000억)1.7B (17억)고성능 대형 모델, GPT-4o 수준의 성능, 추론 효율성 우수Llama 4 Behemoth2T (2조)288B (..

Anthropic은 최근 고등 교육 기관을 위한 맞춤형 AI 도구인 'Claude for Education'을 출시했습니다. 이 도구는 교육 분야에서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과 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Claude for Education의 주요 특징학습 모드(Learning mode) : Claude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대신, "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사고 과정을 유도하며, "당신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무엇인가요?"와 같은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킵니다.대학과의 협력 : Northeastern University, 런던정경대학(LSE), Champlain College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각 ..

현대 사회는 기술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 속에 살고 있습니다. 토마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주장한 패러다임 전환처럼, 지금도 우리 사회는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기술 사이에서 끊임없는 충돌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한복판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컴퓨터”와 그 주변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 생명과 기계의 융합최근 발표된 세계 최초의 바이오 컴퓨터, 흔히 'CL1'이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기존의 실리콘 기반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기존 컴퓨터는 폰 노이만 구조를 채택하여 연산과 저장 기능을 분리해왔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뇌는 연산과 저장이 하나로 융합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이를 모방하고자 하는 시도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꿈이었..

요즘 인공지능(AI) 업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오픈AI 마피아’입니다. 처음엔 이 말이 다소 거칠게 느껴졌지만, 알고 보면 꽤 흥미롭고 상징적인 표현이에요. 오늘은 이 ‘마피아’란 말이 왜 붙었는지, 그리고 과거의 ‘페이팔 마피아’와 어떤 점이 닮았고 또 다른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마피아'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우리가 흔히 아는 ‘마피아’는 범죄 조직을 뜻하지만, 실리콘밸리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마피아는 하나의 기업을 기반으로 이후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업계를 휘젓는 네트워크를 의미하죠. 처음 이 표현을 대중적으로 만든 건 바로 ‘페이팔 마피아(PayPal Mafia)’였습니다. 이 마피아란 표현이 가지는 특유의 뉘앙스—‘끈끈한 인맥’, ‘비슷한 문화와 철학..

요즘 AI 이야기 안 하면 대화가 안 되는 세상이죠.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기술이 발표되고, 너도나도 AI를 탑재한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이 와중에 살짝 다른 관점에서 AI를 바라보는 시선이 생기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뭔가 ‘AI 기술 그 자체’가 주인공이었다면, 이제는 그 AI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느냐가 더 중요해졌다는 겁니다. 즉, 기술 중심의 AI에서 ‘비즈니스 중심의 AI’로 시선이 옮겨가고 있다는 이야기죠.게임 회사의 AI 활용, 그 시작이자 전환점최근 머니투데이에 실린 기사를 보면, 이 흐름이 정말 실감 납니다. 크래프톤이 신작 '인조이'에 sLM 기반을 적용한 것에 대한 소개와 넷마블, 네오위즈, 위메이드 등의 게임업체도 AI 서비스 도입을 위해 AI 전담 연구..

요즘은 궁금한 게 생기면 검색창에 키워드를 치는 대신, AI 챗봇에게 묻는 사람들이 꽤 많아졌습니다. "이거 GPT한테 물어보면 바로 알려주던데?"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검색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는 걸 실감하게 되죠. 그런데 과연 이런 AI 기반 요약 서비스가 기존의 검색 비즈니스를 위협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할때가 많습니다. 실제로 Perflexity AI가 서비스를 런칭했을 때 제일 먼저 나온 얘기도 '구글 검색의 시대는 끝났다'라는 것이었죠. 최근 이런 궁금증에 대한 힌트를 줄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AI타임스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AI 개요 제공 서비스가 현재로서는 기존 검색 서비스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는데요. "구글 'AI 검색'이 웹 사이트 트래픽 떨어뜨리지..

전통시장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중요한 생활공간이지만, 영업이 종료된 심야시간대에는 화재 위험이 커지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이는 다른 사업장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한번 상상해 보시죠. 낮에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전통 시장이 밤이 되면 고요해지고, 그 틈을 타 화재 위험이 슬금슬금 다가오는 장면을 말입니다. 서울시 전통 시장에서는 최근 5년간 매년 평균 27건의 화재가 발생해 약 7억 원의 재산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특히 영업이 끝난 심야 시간대(오후 10시~다음날 오전 6시)에 화재가 1.2배 더 자주 일어나고, 피해 규모는 무려 43배나 커진다는 사실. 저는 몰랐었습니다. (생각해 보면 사람들이 있을 때는 초기 진압이 가능할테니 그럴만도 하네요 ^^;) 서울시가 이 ..

거대한 인프라 투자와 축적되는 xAI의 기술력 최근 AI 업계의 흐름은 ‘크고 빠른 투자’라는 단순한 문장으로 표현하기에는 너무나도 역동적입니다. 그 중심에는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가 있습니다. 테슬라·엑스(X, 구 트위터) 등을 통해 미래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온 머스크는, 다시 한 번 xAI라는 회사를 통해 AI 산업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xAI는 엄청난 규모의 GPU 인프라로 대규모 AI 모델을 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기존 서비스들이 갖고 있던 많은 한계가 빠르게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리고 이는 곧 큰 시장 파급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xAI는 이러한 GPU 인프라를 대규모로 활용하여 AI 모델의 훈련을 ..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바이브코딩(Vibe Coding)'이라는 용어가 화제입니다. 이는 생성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코딩을 의미하며, 스타트업부터 빅테크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AI의 코딩 능력이 인간을 넘어섰다는 평가 속에, 일부 전문가는 앞으로 1년 안에 AI가 모든 코드를 작성할 수도 있다고 예측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인간 개발자의 역할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그리고 사회는 AI가 주도하는 개발을 신뢰하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 이 질문들과 관련해 향후 어떻게 사회가 변해갈지 한번 예측해 보겠습니다. 바이브코딩이란?바이브코딩이란 ‘인공지능(AI) 코딩 툴을 적극 활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새로운 방식’을 일컫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