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XAI
- AI
- 메타
- 오픈AI
- 강화학습
- 자연어 처리
- ChatGPT
- LLM
- ai 챗봇
- 트랜스포머
- 실시간 렌더링
- 확산 모델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OpenAI
- 오픈소스
- 이미지 생성
- 인공지능
- 일론 머스크
- 강화 학습
- 멀티모달
- 우분투
- 다국어 지원
- tts
- AI 기술
- 생성형AI
- LORA
- PYTHON
- 휴머노이드 로봇
- 딥러닝
- Today
- Total
목록우분투 (27)
AI 탐구노트

저는 우분투 24.04 LTS 버전을 사용 중입니다. 그런데 최근 뭔가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되더니 부팅 시 기본 설정으로는 Kernel Panic이 발생하면서 진행이 안 되는 겁니다. 어쩔 수 없이 매번 이전에 부팅 성공했던 버전으로 변경해서 부팅을 해서 작업을 해 왔습니다. 그러면서 원인을 밝히고 업데이트를 해 놔야지 하다가 또 안 하고 다음 번에 이전과 같이 부팅... 이런 루틴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었죠. 그러다 귀차니즘이 방향을 틀었습니다. '다음에 해야지'에서 '매번 하려니 귀찮아. 아예 고치자' 로 말이죠. ^^; 이번 글에서는 제가 겪은 우분투 부팅 시 Kernel Panic 상황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현상 - 우분투 GRUB 부팅 오류어느날 갑자기 부팅이 안 됩니다...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는 AI나 개발용은 우분투 리눅스, 문서 작업 용으로는 Windows, 휴대나 영상 편집용은 Mac 이렇게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런데, 작업을 하다보면 데이터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있죠. 대부분 별도의 상용 NAS 장비를 이용하거나 약간의 손재주가 있으신 분들은 라즈베리 같은 장비에 SD카드나 SSD, 그리고 오픈소스 NAS를 이용해서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제 경우는 그 정도까지 돈을 들여 전문적으로 공유할 자료가 있지도 않고해서 거의 항상 켜두는 Windows 장비에 있는 공유 폴더를 Mac과 우분투에서 마운트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이 가운데 우분투에서 윈도우의 공유 폴더를 마운트 하는 방법을 간단히 기록해 둡니다. 1️⃣ 윈도우 쪽 설정 윈도우 공유 폴더를 'd:\s..

우분투를 사용하다가 블루투스 장비 연결에 오류가 발생할 때가 가끔 있습니다. 원인은 대부분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거나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했을 때 의존성이 깨지는 경우인데 이럴 때 어떤 것을 체크해 봐야하는지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우분투 블루투스 환경 1️⃣ 블루투스 서비스 상태 확인서비스가 동작 중인지 확인하고, 재시작하도록 합니다.# 서비스 실행 여부 확인$ systemctl status bluetooth# 서비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bluetooth 2️⃣ 블루투스 장치 인식 여부 확인블루투스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가 정상 인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차단되어 있으면 해제 합니다.# 장치 인식 확인$ rfkill list bluetooth# 장치 차단 ..

최근 OpenAI의 SORA가 워낙 좋아졌고, 구글의 ImagenFx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SORA는 생성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ImagenFx는 빠르고 품질도 좋지만 텍스트 기반만 지원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럴 때 로컬에서 ComfyUI로 SDXL이나 Flux.1 Schnell을 이용하게 되죠. 그런데 오랜만에 사용하려다보니 그동안 업데이트도 많이 되었고, 설치된 패키지들 간에 약간씩 충돌하는 부분도 있더군요. 하나씩 원인 분석해가며 버그를 잡아주긴 했는데 마치 전원주택을 관리하는 것처럼 앞으로 연식이 높아지면 더 편해지는 것이 아니라 잔손이 많이 가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좀 더 편하게 모델이나 패키지를 관리해줄 수 있는게 없을까 고민하다가 'S..

우분투를 사용하다가 부팅이 되지 않는 오류가 가끔 발생합니다. 정상적으로 사용했을 때가 아니라 이래저래 뭔가를 바꿔보는 시행착오를 하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제 경우는 특히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관련 사항을 건드리면서 맞딱뜨리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AI 사용을 위해 CUDA 환경 구성을 이 버전 저 버전을 막 굴리다 보니 그렇게 되더라구요. 어찌됐건... 그럴 때마다 이유를 모르고 맨땅에 헤딩하며 복구에 전념하기 일쑤였는데, 한번은 정리를 해놓고 가야할 것 같아서 조사를 해 봤습니다. Ubuntu 24.04 부팅 실패 원인워낙 다양한 원인이 가능합니다. 이건 우분투라서 그런 것도 아니고 버전 문제도 아니죠. 윈도우에서도 가끔씩 겪게 되는 일이니 말입니다. 대략적인 부팅 실패 원인은 다음과 ..

최근 원격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우분투 사용 환경을 바꾸는 시행 착오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어째저째 하여 기존과 같은 환경으로 복귀를 하긴 했는데 한 가지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는 겁니다. 혹시나 또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까 싶어 정리를 해 두려고 합니다. Terminator ? 영화 속 그 터미네이터는 아닙니다. 'Term'이라는 단어들이 보이죠? 네 맞습니다. Terminator는 터미널 프로그램의 대용 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탭이나 창 분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여러 터미널 창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편리한 도구이죠. 참고) 설치 방법APT 패키지로 제공되고 있어 다음의 명령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ter..

우분투에서는 로그인을 GUI에서 하느냐 CLI(콘솔)에서 하느냐를 정할 수 있습니다. 서버 관리자이거나 혹은 특별한 사유가 있어서 GUI가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은 GUI 기반 로그인을 이용하고 있을 겁니다. 저도 똑같이 gdm3에서 제공하는 GUI 기반 로그인 화면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여행을 떠나면서 원격 접속 환경 세팅이 필요해서 이런저런 시행착오 끝에 로컬에서는 cli로, 원격 접속 시에는 GUI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두었습니다. 그런데 복귀 후 원래 상대로 되돌리는 방법을 잊어 버려서 또 다시 시행착오를 해야 했기에 복구하는 과정을 짧게 정리해 둡니다. 현재의 상태 (CLI 로그인 환경)현재 환경은 CLI 콘솔에서 로그인 입력을 기다리게 되어 ..

우분투 bash shell을 이용해 새로 생성한 스크립트를 백그라운드에서 동작시켜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제 경우, 지난 번에 만든 썸네일 메이커 프로그램을 그런 식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시켜야 하는데요... .bashrc에 등록해 두고 사용하는데 대충 해 뒀더니 사용하면서 불편한 부분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약간 개선해야겠다 싶었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Bash를 이용해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 봤습니다. Bash 쉘에서 긴 시간 실행되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로그아웃 후에도 동작하도록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싶을 때가 많은데 이를 위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이를 종료시키는 방법을 알아두면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발자나 서버 ..

불편사항 : Chrome 버전 업데이트 경고 저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습관 때문에 우분투에서도 Chrome 브라우저를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설치와 업데이트 방식이 약간 다르다보니, 일정 기간 사용하다 보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라는 경고를 받을 때가 생깁니다. 무시하고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그래도 보안이나 기능 향상 등이 있을 것 같아 그냥 넘어가긴 고민이 돼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경고먹고 그 상황을 해결한 짧은 과정을 정리해 두고자 합니다. 분명히 알고 넘어가도 다음에 비슷한 상황이 되면 또 다시 찾아봐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벌써 그런 나이가 되어 버렸습니다. T^T 크롬 브라우저 최신으로 사용하기 1.Chrome 처음 설치 시만약 크롬 브라우저를 이전에 설치한 적이 ..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뷰어우분투를 사용하면서 이미지를 다룰 때 불편한 점이 한가지 있습니다. 대부분 작업은 우분투에 기본으로 설치된 Image Viewer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툴은 단순히 이미지를 보기에는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작업하려고 하면 바로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어 품질 저하 없이 이미지 회전, 크기 조절, 밝기나 채도 수정 같은 간단한 편집 기능이 아예 없거든요. 이런 작업을 하자고 GIMP 같은 무거운 프로그램을 띄우는 건 너무 과한 느낌입니다. 말 그대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죠. 그런데 이런 고민을 깔끔하게 해결해줄 프로그램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XnView-MP입니다. 윈도우 사용자에게 친숙한 XnView 사실 XnView는 오랫동안 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