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구노트

[우분투] 윈도우 공유폴더를 우분투에서 원격으로 마운트하기 본문

기술 팁

[우분투] 윈도우 공유폴더를 우분투에서 원격으로 마운트하기

42morrow 2025. 5. 17. 18:00
728x90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는 AI나 개발용은 우분투 리눅스, 문서 작업 용으로는 Windows, 휴대나 영상 편집용은 Mac 이렇게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런데, 작업을 하다보면 데이터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있죠. 대부분 별도의 상용 NAS 장비를 이용하거나 약간의 손재주가 있으신 분들은 라즈베리 같은 장비에 SD카드나 SSD, 그리고 오픈소스 NAS를 이용해서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제 경우는 그 정도까지 돈을 들여 전문적으로 공유할 자료가 있지도 않고해서 거의 항상 켜두는 Windows 장비에 있는 공유 폴더를 Mac과 우분투에서 마운트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이 가운데 우분투에서 윈도우의 공유 폴더를 마운트 하는 방법을 간단히 기록해 둡니다. 

 

1️⃣ 윈도우 쪽 설정

 

윈도우 공유 폴더를 'd:\shared' 로 하겠습니다.

 

해당 폴더의 속성에서 '공유 > 고급 공유'를 선택합니다. 

그림 : 폴더 공유 설정

 

 

사용 권한 설정을 위해 다음 작업을 진행합니다. 

  • 로컬 사용자 계정을 하나 생성합니다. (설정 > 사용자 계정 부분) 
  • 해당 사용자 계정을 아래 그림과 같이 '공유 사용 권한'의 사용자로 추가합니다. 
  • 권한은 원하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그림 : 폴더 공유 권한 설정

 

 

사용자의 윈도우 컴퓨터의 IP 주소는 윈도우 커맨드 창에서 다음 명령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참고로 윈도우 컴퓨터와 접속하려는 Mac 또는 우분투 PC는 모두 동일한 AP(공유기)로 접속되어 있어야 합니다. 

ipconfig

그림 : 윈도우 IP 확인 방법

 

위의 그림은 무선랜으로 연결했을 때 할당 받은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 다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접속하려는 윈도우의 IP 주소
  • 윈도우에서 공유하려는 폴더의 공유명
  • 공유폴더에 접속할 윈도우 사용자 계정 정보(id와 암호)

 

 

2️⃣ 우분투 쪽 설정

 

공유 폴더를 원격 CIFS (Common Internet File System)으로 마운트 하는 방식입니다. 참고로 마운트 해야하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커맨드가 약간씩 달라집니다. 

 

이 때 내부적으로는 SAMBA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어 프로그램을 하나 깔아둬야 합니다.

$ sudo apt install cifs-utils

 

 

1회성으로 마운트하려면 다음 커맨드를 이용합니다.

$ sudo mount -t cifs -o username={윈도우 계정},password={윈도우 암호} //{윈도우의 IP주소}/{공유폴더의 이름} {마운트 위치로 잡을 로컬폴더 Path}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면 이 정보를 fstab에 등록해 두어야 합니다. 

$ sudo vi /etc/fstab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항목을 추가합니다.

//{윈도우 IP}/{공유폴더명} {마운트 위치로 잡을 로컬폴더 Path} cifs username={윈도우 계정},password={윈도우 암호},iocharset=utf8,sec=ntlm,vers=2.0 0 0

 

파일 수정이 완료되면 다음 커맨드를 이용해 변경된 정보를 반영합니다.

# daemon 재로드
$ systemctl daemon-reload

# 마운트 수행
$ sudo mount -a

 

 

3️⃣ 마운트 폴더를 특정 사용자 계정에 권한 부여

 

마운트 전에 미리 권한 설정을 해둬야 하기 때문에 /etc/fstab에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단 아래 예는 uid, gid가 각각 1000인 사용 계정일 경우입니다. 이 값은 터미널에서 'id'라는 커맨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IP}/{공유폴더명} {마운트 위치로 잡을 로컬폴더 경로} cifs username={윈도우 계정},password={윈도우 암호},iocharset=utf8,sec=ntlm,vers=2.0,uid=1000,gid=1000,file_mode=0755,dir_mode=0755 0 0

 

혹시 윈도우 계정 ID와 윈도우 암호를 숨김 처리하고 싶을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 암호 정보 저장 파일 생성 
$ sudo vi /root/.smbcredentials

# .smbcredentials 파일 내용
username={윈도우사용자 ID}
password={윈도우 암호}

# 파일 속성 변경
$ sudo chmod 600 /root/.smbcredentials

 

이렇게 설정한 후에 fstab 파일에 다음과 같이 등록합니다.

//{윈도우 IP}/{공유폴더명} {마운트 위치로 잡을 로컬폴더 경로} cifs credentials=/root/.smbcredentials,iocharset=utf8,sec=ntlm,vers=2.0,uid=1000,gid=1000,file_mode=0755,dir_mode=0755 0 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