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간적 일관성
- LORA
- 메타
- OpenAI
- 우분투
- 티스토리챌린지
- 트랜스포머
- 강화 학습
- 아두이노
- 확산 모델
- nvidia
- OpenCV
- 일론 머스크
- 인공지능
- PYTHON
- AI
- ChatGPT
- tts
- 오픈소스
- TRANSFORMER
- AI 기술
- LLM
- 오블완
- 오픈AI
- 휴머노이드 로봇
- 딥러닝
- ubuntu
- 이미지 생성
- 생성형 AI
- 다국어 지원
- Today
- Total
목록휴머노이드 로봇 (7)
AI 탐구노트

현대 사회는 기술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 속에 살고 있습니다. 토마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주장한 패러다임 전환처럼, 지금도 우리 사회는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기술 사이에서 끊임없는 충돌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한복판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컴퓨터”와 그 주변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 생명과 기계의 융합최근 발표된 세계 최초의 바이오 컴퓨터, 흔히 'CL1'이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기존의 실리콘 기반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기존 컴퓨터는 폰 노이만 구조를 채택하여 연산과 저장 기능을 분리해왔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뇌는 연산과 저장이 하나로 융합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이를 모방하고자 하는 시도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꿈이었..

인간을 닮아가는 로봇, 그리고 뜨거워지는 경쟁최근 로봇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마치 영화에서나 보던 장면들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경쟁이 본격적으로 달아오르면서, 로봇 산업의 패권을 둘러싼 싸움이 더욱 치열해지는 모양새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소개된 중국과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들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로봇 기업들의 약진한때 로봇 기술력에서 미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중국 기업들도 그 격차를 빠르게 줄이고 있죠. 특히 유비테크(UBTECH), 유니트리(Unitree) 같은 기업들은 보스턴다이나믹스를 따라잡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유니트리의 경우, 최근 쿵푸 동작을 하는 로봇 영상..

AI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가 정말 빠릅니다.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챗GPT 같은 생성형 AI가 화제였는데, 이제는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있죠. 바로 거대세계모델(Large World Model, LWM)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기존의 LLM(거대언어모델)이 언어를 중심으로 AI를 발전시켰다면, LWM은 현실 세계를 직접 이해하고 시뮬레이션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기술 발전이 아니라 AI가 실제 환경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는 혁신적인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LLM과 LWM의 차이점, 그리고 LWM이 메타버스뿐만 아니라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LLM vs. LWM, 무엇이 다를까?1) LLM: 언어를 이해하는 ..

요즘 AI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중요한 과제가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AI가 앞으로도 진화하려면 NPU, GPU 같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학습 데이터가 필수인데요, 그런데 지금 AI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데이터가 바닥을 보이고 있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는 것이죠. 최근 보도된 오픈AI의 코드명 '오리온(Orion)'으로 알려진 GPT-5 개발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도 이 때문일 것이라는 예상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픈 AI, 새 모델 개발 지연···학습할 데이터 부족”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차세대 주력 인공지능 모델 개발이 당초 목표보다 늦어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 전했다. WSJ가 이날 여러 소식통을 이용해 보도한 내용..

휴머노이드 로봇이 등장하는 SF 영화 속 미래가 이제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이런 기술을 대규모로 학습하고 생산해 나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반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정부차원의 IT 연구개발 예산 삭감에 힘들어하고 있고 빅테크들의 한국 시장 진출에 대응해야 하면서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변화하는 기술 트랜드를 따라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망이 그리 밝은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너무 외파가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미국과 중국의 테크 기업들이 첨단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붓고 있습니다. 대량생산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테슬라의 옵티머스봇 외에 이번에 소개할 것은 중국의 AGIBot이라는 업체의 사례입니다. 예전 Agibot2라는 휴머노..

1.개요1.1.기존 문제점기존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 방식은 각각의 작업에 맞춘 별도의 제어기가 필요했습니다. 예를 들어 로봇이 이동할 때와 물건을 집을 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제어를 하게 되고 작업이 추가될 때마다 제어 시스템을 다시 훈련하거나 수정해야 했습니다. 1.2 HOVERHOVER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이동, 물건 조작 등 여러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통합된 제어 시스템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NVIDIA 연구진이 소형 신경망을 개발해 특화된 시스템보다 효율적으로 휴머노이드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입니다. 2.HOVER 기술요소 2.1.특징 HOVER는 여러 작업 모드를 하나로 통합하여 로봇이 이동하거나 물건을 다루는 동작을 하나의 제어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할 수 ..
테슬라의 옵티머스나 Figure AI의 Figure 1 등 휴머노이드 로봇과 관련된 공개 영상들을 보면, 사람의 행동을, 모방학습을 통해 엔드 투 엔드로 학습하는 방식이 주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분야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기계적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진입 장벽이 무척이나 높아, 사람들이 대부분 시작조차 해 보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HuggingFace 로봇 프로젝트 팀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기반 로봇 개발 도구 'LeRobot'은 그런 의미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LeRobot은 로봇 공학을 위한 사전 훈련된 모델 세트, 사람이 수집한 시연이 포함된 데이터 세트, 시뮬레이션 환경, 비전언어모델(VLM) 및 대형언어모델(LLM)을 위한 라이브러리 등을 포함하고 있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