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구노트

2024.10.13 관심 뉴스 본문

AI 관련 소식

2024.10.13 관심 뉴스

42morrow 2024. 10. 13. 19:28

보험사, AI 도입으로 보험금 지급 속도 개선

 

최근 보험업계에서는 AI 기반 보험심사, 고객 맞춤형 보험 상품, 서비스 제공, 보험 사기 탐지 시스템 등 AI기술 도입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보험금 지급 속도가 빨라지는 등 고객 서비스가 크게 개선과 함께 보험사들의 비용 절감과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머니S)

 

인공지능, 뇌졸중 예후 예측에서 석학들보다 빠르고 정확"

세계 뇌졸중 전문가들과 AI가 뇌졸중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대결을 펼쳤는데 이 대결에서 인공지능은 예측시간 12분 vs 45분, 예측정확도 72% vs 50%로 전문가들을 훨씬 웃돌았습니다. (YTN)

 

 

AI 기술, 에너지 효율 최적화로 비용 절감 가속

포스코는 '스마트 용광로' 도입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연료비가 절감하는 등, AI 기술이 에너지 관리와 생산 효율성 향상에 도입되면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연료비를 절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경제)

 

 

유튜브 쇼츠, 3분 확장으로 숏폼 경쟁 강화

유튜브가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과의 경쟁을 강화를 위해 숏폼 서비스 '쇼츠'의 최대 길이를 기존 1분에서 3분으로 늘렸습니다. (매일경제)

 

 

글로벌 유니콘 기업 5분의 1은 AI, 미국이 선도

글로벌 유니콘 기업 중 21%는 AI 관련 스타트업으로, 이들의 기업가치는 전체 유니콘 기업가치의 32.7%를 차지하며 특히 미국이 18개 기업으로 가장 많은 AI 유니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헬로디디)

 

AI를 통해 향후 전세계의 혁신을 주도해 갈 나라가 어떤 곳이 될지가 예상되는 지점입니다. 예전에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국가 차원의 지원을 받아가며 기술 개발을 해서 전세계 최고가 된 것처럼 국내 AI 분야에서도 그런 곳들이 몇이라도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은 글로벌에서 오는 도전을 이겨내면서 영화 산업을 지켰고, 포털도 지켜냈습니다. 앞으로 국제 경쟁에서 빅테크들과 경쟁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제 필요한 것은 요소요소에 숨어 있을 '알박기 기술'을 선점하는 것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전력 소모 줄이는 AI, 세계 첫 3진법 반도체 등장

UNIST의 교원창업 기업 터넬이, 세계 최초로 3진법 반도체를 개발했는데 이 반도체는 0, 1, 2의 세 가지 상태로 정보를 처리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계산 속도를 높인다고 합니다. (머니투데이)

 

3진법 컴퓨터는 이미 1958년도 러시아에서 개발된 바 있다는 블로그 글을 본 적이 있습니다. 게다가 터넬이 개발했다는 3진법 반도체는 창업자인 김경록 교수팀이 2019년도에 이미 발표를 한 바 있습니다. 그 뒤 2023년도에는 KAIST, 가천대 연구팀이 발표한 바도 있죠. 현재의 반도체를 뛰어넘는 다양한 신기술이 나오는 것은 참 고무적인 일입니다. 다만, 3진법, 다진법 양자컴퓨터, 등등의 기술이 무르익어 새로운 기술로 주도권을 잡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훨씬 더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약간 늦어지더라도 그 시기가 분명 오긴할테죠. 

 

 

시중은행, AI 기반 비대면 서비스로 고객 편의성 강화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이 AI 은행원, AI뱅커, AI 자산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계좌 관리, 대출 신청, 금융상품 추천 등이 자동화되었고, 맞춤형 자산 관리 등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생성형 AI 선두: 업스테이지 1000억 투자 유치

한국의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1000억 원을 유치하며 2024년 상반기 투자 유치 1위를 차지하고 트웰브랩스와 스트라드비젼 등 다양한 AI 스타트업들도 큰 투자를 받으며 성과를 내고 있으나 법, 제도적 환경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AI 활용한 바이러스 연구, 초고속 성과 달성

중국 연구진이 AI를 활용해 초당 1종의 속도로 16만 2000종의 새로운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는 등 바이러스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으며 질병 예방과 생태계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이코노믹)

 

 

KAIST, AI 기반 신소재 개발 기술 '프로핏-넷' 발표

KAIST 연구진이 AI 기반 신소재 개발 기술인 '프로핏-넷'을 개발했는데, 화학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여 예측 성능을 극대화한 이 기술은 유전율, 밴드갭, 형성 에너지 등의 물성을 예측하는 정확도를 기존 모델 대비 10~40% 향상시켰습니다. (AI타임스)

 

 

AI로 만들어진 실사 GTA 4 영상, 게임 기술의 새로운 혁신

생성형 AI로 제작된 GTA 4 리마스터링 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 해당 영상은 도시 속 액션 장면을 실사 수준으로 표현했으며, AI가 기존 게임 영상에서 텍스트와 NPC 대화까지 반영하는 등 AI가 게임 개발과 그래픽 혁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AI타임스)

 

 

AI 성능 유지하며 개인정보 삭제하는 기술 개발

성균관대학교 우 사이먼 성일 교수는 AI 모델이 학습한 개인정보를 재학습 없이도 효율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머신 언러닝'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 기술은 AI가 기존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ZD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