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확산 모델
- tts
- XAI
- 이미지 생성
- PYTHON
- 휴머노이드 로봇
- 생성형AI
- LLM
- 자연어 처리
- 우분투
- OpenAI
- 일론 머스크
- ChatGPT
- 강화학습
- 오블완
- 오픈AI
- 멀티모달
- 감정 표현
- Stable Diffusion
- 다국어 지원
- AI
- 오픈소스
- 인공지능
- 딥러닝
- AI 기술
- 실시간 렌더링
- 강화 학습
- 트랜스포머
- 티스토리챌린지
- 메타
- Today
- Total
AI 탐구노트
Google Beam - 실시간 3D 입체로 실사 느낌 나는 영상 통화 본문
구글이 최근 발표한 Google Beam은 기존의 화상 통화를 한 단계 끌어올린 혁신적인 3D 영상 통화 플랫폼입니다. AI 기반의 실시간 3D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으로 발전하여 일반 사용자와 기업 모두에게 새로운 소통 방식을 제시하고 있죠.
그런데... 어째 예전에 본 적이 있는데 싶지 않으세요? 네, 그렇습니다. 이 기술은 원래 'Project Starline'이라는 이름으로 연구되었고 2023년에 이미 소개된 바가 있습니다. 실제 이번에 공개된 영상도 그 때와 크게 다르진 않아 보입니다. 장비 자체가 훨씬 간결해지고 더 자연스러워졌다 정도? (참고영상)
그 당시에는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차원이었지만 지금은 실 서비스로 등장한 것이니 아무래도 어떤 것인지 다시 한번 정리해 두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 기록해 둡니다.
Google Beam이란?
Google Beam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2D 영상 통화를 몰입감 있는 3D 경험으로 전환하는 플랫폼입니다. 특수 안경이나 헤드셋 없이도 상대방을 실제로 마주 앉아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6개의 카메라와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며, 공간 오디오와 AI 기반의 실시간 음성 번역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장비가 고도화되어서인지 카메라와 스피커 등이 장비 내에 숨겨져 있어 훨씬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여기에 적용된 라이트 필드라는 기술을 보니 2012년에 소개된 바 있는 Lytro 카메라가 생각났습니다. 한번 촬영하고 난 사진을 이후에 초점 위치나 심도 등을 원하는대로 바꿀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어서 당시 센세이션을 일으킨 바 있었죠. 처음엔 약간 투박했다가 2년 뒤에 Lytro Illum이라는 DSLR 형태의 카메라를 내놓으면서 사고 싶다는 욕구를 만들어주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다 이 업체는 지금 어떻게 됐나 하고 찾아봤더니... 2018년에 Google에 인수가 됐다네요. 어쩐지... 이 기술진이 Google Beam 개발에 참여하지 않았을까 합리적인 추론이 가능해 지는 순간이었습니다.🧐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나오는 빛의 각도와 방향까지 조절하여, 실제 사물을 보는 것처럼 입체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디스플레이를 말합니다. 일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빛의 방향과 깊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물체처럼 입체감있게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고개글 돌리면 시점에 따라 화면이 바뀝니다.
라이트 필드 카메라
빛의 방향과 강도(위치뿐 아니라 각도까지)를 모두 기록하는 카메라. 2012년에 Lytro 카메라가 소개되어 센세이션을 일으킨 바 있었습니다.
Google Beam의 주요 특징
1️⃣ AI 기반 3D 영상 통화
Google Beam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2D 영상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3D 입체 영상으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대방의 표정, 제스처, 시선 등을 보다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어, 실제 대면하는 것과 유사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2️⃣ 실시간 음성 번역
Google Beam은 실시간 음성 번역 기능을 제공하여, 언어 장벽 없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Google Meet에도 적용되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간의 소통을 지원합니다. 목소리, 억양과 감정 표현도 유지할 수 있다고 하죠.
3️⃣ 별도의 VR 헤드셋, 특수 안경 등이 불필요
실제 이 기기에는 다양한 카메라, 오디오 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VR 장비와 같은 거추장 스러운 인터페이스가 필요치 않습니다.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는 월등한 잇점이 있는 셈입니다.
4️⃣ 기업용 솔루션으로의 확장
Google은 HP와 협력하여 Google Beam을 기업용 솔루션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Salesforce, Deloitte, Duolingo 등 다양한 기업들이 이미 이 기술을 도입하여 업무 효율성과 협업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5️⃣ 구글 클라우드 기반
Google Beam의 실제 서비스는 구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합니다. 기업용 솔루션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연결과 보안을 중시합니다.
향후 전망
Google Beam은 현재 1:1 통화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향후 그룹 통화 기능도 개발 중이며,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소형화와 가격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기술 자체가 현재 버전으로는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 전용 하드웨어와 함께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가정용으로 접하는 것이 당장은 어려워 보입니다. 하지만 좀 더 기술이 고도화된다면... 패드나 스마트 TV 정도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외부 연결 장치 형태로 저렴하게 만들어 팔 수도 있겠다 기대를 해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기기를 정말 써보고 싶거든요... -_-;
이처럼 Google Beam은 단순한 화상 통화를 넘어, 실제 대면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 있는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플랫폼입니다. AI와 3D 기술의 결합을 통해, 원격 근무, 국제 회의, 원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소통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Google Beam이 우리의 일상 속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됩니다. 한 10년 정도 이내에는 어지간한 기업들에서는 다 이 기술을 이용해서 화상회의를 하고 있지 않을까요?
'AI 관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의 SignGemma - 실시간 수화를 지원하는 AI 기술의 등장 (0) | 2025.06.03 |
---|---|
AI 딥페이크와 리벤지 포르노: 기술의 어두운 그림자와 사회적 대응 (0) | 2025.05.31 |
카카오, 소형 언어 모델 (SLM) 카나나 시리즈 오픈소스 공개 (0) | 2025.05.27 |
전국민 ChatGPT Plus 무료 제공 - AI의 일상화를 위한 두바이의 실험과 글로벌 AI 경쟁 (2) | 2025.05.27 |
구글 I/O 2025에서 공개된 스마트 글래스 : 미래를 눈앞에!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