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구노트

Active Bird2Vec : AI 기반 조류 소리 모니터링 본문

AI 기술

Active Bird2Vec : AI 기반 조류 소리 모니터링

42morrow 2025. 1. 6. 10:48

 

1. 서론

조류의 개체 수 변화는 자연환경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새들은 씨앗을 퍼뜨리고, 해충을 잡아먹고, 식물의 수분을 돕는 등 자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새가 줄어들면 생태계 전체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를 줄이기 위해 늘어나는 풍력발전소가 새들의 서식지를 방해하면서 충돌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새를 꾸준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일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죠. 현재 새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주로 새소리를 녹음한 후 전문가가 이를 분석하는 방식인데, 이 과정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 특히 딥러닝의 발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기존 방식은 음성 데이터를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을 활용했으나, 이 과정은 신호 품질 저하와 모델 간 비교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변환 과정을 생략하고 원시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변환기(Transformer) 모델과 자가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SSL)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ctive Bird2Vec라는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조류 소리 모니터링에 혁신을 가져올 딥러닝 기반 기술을 살펴봅니다. 

 

2. 본론

2.1. 기존 방식의 문제점

현재 조류 소리 모니터링은 음향 데이터를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하고 CNN 기반 모델로 학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변환 과정에서의 정보 손실, 높은 레이블링 비용, 다양한 환경에 대한 일반화 어려움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 특히 희귀 종이나 독특한 소리를 감지하는 데 있어 기존 방법은 한계가 있습니다.

2.2. 접근 방식

Active Bird2Vec변환기 모델과 자가 지도 학습을 결합하여 원시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의 조류 소리 모니터링을 제안합니다.

  •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다양한 조류 소리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데이터 접근성과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오픈 소스 데이터셋 플랫폼(예: HuggingFace) 에 맞춰 데이터셋을 구성합니다.
  • 자가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SSL) : 대량의 레이블 없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조류 소리 표현을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레이블링 데이터 의존도를 낮추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Wave2Vec2와 같은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이 사용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스펙트로그램 변환 과정을 생략해 정보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 딥 액티브 러닝(Deep Active Learning, DAL) : 모델이 학습에 가장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벨링 작업을 요청하며 인간 전문가가(Annotator)는 이를 레이블링합니다. 
  • 벤치마크 설계 : 일관된 평가 프로토콜을 통해 연구 간 비교 가능성을 높이고 모델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합니다.

그림 : Active Bird2Vec 접근 방식의 전체적인 흐름과 주요 구성 요소 시각화

 

위의 그림은 Active Bird2Vec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부분과 자가 지도 학습 (Self-Supervised Learning), 그리고 딥 액티브 러닝 (Deep Active Learning)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ctive Bird2Vec가 데이터의 수집, 학습, 주석작업 등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보여주는 전체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수작업 과정을 자동화 과정으로 대체해 조류 모니터링을 더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하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ask가 분리된 것은 새 소리 모니터링에서 각 작업의 목적과 데이터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한 작업은 특정 새 종류의 소리만 대상으로 학습하며 이는 단일 조류 소리로 구성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또 다른 작업은 환경 소음이 포함된 복합적인 오디오 데이터에서 새의 소리를 학습하는 것이죠. 결국 전자의 작업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모델을 초기 학습토록 하고 후자의 작업은 실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모델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3. 결론

 

Active Bird2Vec자가 지도 학습과 딥 액티브 러닝을 결합하여 새 소리 모니터링을 혁신적으로 만들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데이터 라벨링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모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죠. 

 

가끔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스마트폰 하나만 들고 새들이 많은 숲으로 들어갔을 때, 스마트폰 상의 지도에 내가 있는 위치와 주변에 어떤 새가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가 보여질 수 있다면 하고 말입니다. 자연에서는 어떤 생물과 가까워지려면 그 상대가 누군인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미리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식물이건 동물이건 말이죠. 그런 측면에서 소리로 정체를 파악하기 가장 쉬운 존재가 새이기 때문에 저는 이 논문에서 추구하고 연구하는 바가 좋은 결과를 얻고 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앱도 나오길 기대합니다. ^^

 

4. 참고자료

 

  • 논문) ACTIVE BIRD2VEC: TOWARDS END-TO-END BIRD SOUND MONITORING WITH TRANSFORMERS (링크)
  • 논문) BirdSet: A Dataset and Benchmark for Classification in Avian Bioacoustics (링크)

 

5. Q&A

 

Q. Active Bird2Vec는 기존 조류 모니터링 방식과 어떻게 다른가요?
기존 방식은 스펙트로그램 변환 과정을 요구하지만, Active Bird2Vec는 변환기 모델을 통해 원시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처리합니다.

 

Q. 왜 자가 지도 학습이 사용되었나요?
자가 지도 학습은 레이블 없는 데이터를 활용해 레이블링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딥 액티브 러닝의 주요 장점은 무엇인가요?
데이터 레이블링 효율성을 높이고, 특정 작업에 대해 모델 성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