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구노트

AI기술, 국가나 동맹 차원의 전략적 무기가 되나 본문

AI 관련 소식

AI기술, 국가나 동맹 차원의 전략적 무기가 되나

42morrow 2024. 11. 16. 16:59

 

AI 기술 = 국가 차원의 무기, 그리고 내 편 네 편 나누기

 

최근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OpenAI와의 협력 하에 흥미로운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북미 국가들 간의 AI 동맹 구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전력 공급의 효율화를 비롯해 인재 양성과 AI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국가 간의 협력이 AI 경쟁력의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AI는 이제 국가 전략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트럼프 의식했나…오픈AI, 中 견제 '북미 AI동맹' 제안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미국을 중심으로 북미 지역 국가들이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AI 동맹을 맺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오픈AI는 현지시간 13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biz.sbs.co.kr

 

과학기술과 경제를 무기로 한 패권전쟁

 

최근 국제사회에서 과학기술과 경제가 새로운 형태의 무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경쟁은 단순한 경제적 우위를 넘어 AI, 반도체, 양자컴퓨팅 같은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경쟁은 국가의 미래 성장과 안보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강대국들 간의 힘겨루기가 더욱 심화되고 있죠.

 

이 과정에서 세계는 점점 블록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자국 중심의 동맹을 강화하며 기술과 경제에서의 우위를 유지하려 하고, 반면 중국은 BRICS 국가들을 비롯한 신흥 강국들과의 연대를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런 블록 간 경쟁은 단순히 양자 대결에 그치지 않고, 다른 국가들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술 표준의 갈라짐,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그리고 국제 무역의 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여파가 느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강대국 간 경쟁에 끼인 중간 규모 국가들은 어려운 선택에 직면해 있습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으면서도 자국의 경제와 기술적 입지를 유지해야 하는데요. 특히 우리처럼 기술 강국이면서도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더욱 신중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한국은 특정 블록에 편입되기보다는 독자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해 ‘가교 국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니 이를 최대한 살리는 실리 외교도 필요하겠죠.

 

AI 기술 부문의 주도권 경쟁

 

AI 기술 부분만 놓고 봐도 패권전쟁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강대국들은 AI 기술을 군사, 경제, 그리고 외교적 도구로 활용하며 자국 우선주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무기 개발, 데이터 패권, 인재 확보 경쟁 등 여러 방면에서 기술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치열한 다툼이 이어지고 있죠.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고유의 전략적 입지를 찾아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기술의 수요와 공급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만큼, 한국은 자국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다자 간 협력의 장을 넓혀야 합니다. 특히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윤리 문제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여지가 있습니다. AI 생태계는 단순히 기술적 문제를 넘어, 국가와 산업 간 신뢰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니까요.

 

결국, AI는 기술력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국가 간의 협력, 그리고 글로벌 동맹의 중요성은 AI 경쟁의 시대에 더욱 두드러질 것입니다. 한국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자국의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협력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국내 AI 생태계의 강화와 국제 협력의 균형을 통해 한국만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기술적 혁신과 국제적 협력, 이 두 축이 조화를 이룰 때, 우리는 더욱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