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다국어 지원
- 코딩
- 트랜스포머
- ChatGPT
- 강화 학습
- 오블완
- OpenCV
- 오픈소스
- PYTHON
- AI 기술
- 딥러닝
- LORA
- 3d 재구성
- 메타
- 오픈AI
- 휴머노이드 로봇
- XAI
- tts
- 티스토리챌린지
- 시간적 일관성
- 우분투
- 일론 머스크
- OpenAI
- AI
- 확산 모델
- LLM
- ai 챗봇
- 실시간 렌더링
- ubuntu
- 인공지능
- Today
- Total
AI 탐구노트
[우분투] 우분투 로그인 환경 전환 방법 (CLI vs GUI) 본문
우분투에서는 로그인을 GUI에서 하느냐 CLI(콘솔)에서 하느냐를 정할 수 있습니다. 서버 관리자이거나 혹은 특별한 사유가 있어서 GUI가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은 GUI 기반 로그인을 이용하고 있을 겁니다.
저도 똑같이 gdm3에서 제공하는 GUI 기반 로그인 화면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여행을 떠나면서 원격 접속 환경 세팅이 필요해서 이런저런 시행착오 끝에 로컬에서는 cli로, 원격 접속 시에는 GUI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두었습니다. 그런데 복귀 후 원래 상대로 되돌리는 방법을 잊어 버려서 또 다시 시행착오를 해야 했기에 복구하는 과정을 짧게 정리해 둡니다.
현재의 상태 (CLI 로그인 환경)
현재 환경은 CLI 콘솔에서 로그인 입력을 기다리게 되어 있습니다. CLI 로그인은 멀티유저 타겟 (multi-user.target) 환경이라는 얘기입니다. 또 아래 커맨드로 확인해 보면 gdm3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 systemctl status gdm3
GUI 로그인 환경으로의 전환
1.gdm3 서비스 활성화
gdm3 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참고로 sudo 권한으로 해야 재부팅 이후에도 설정이 유지됩니다.
$ sudo systemctl enable gdm3
2.GDM의 기본 타겟 변경
원격 접속을 위해 멀티유저 타겟(콘솔모드)로 전환해 두었던 것을 다시 그래픽 타겟으로 변경합니다.
$ 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참고로 현재의 타겟을 확인하려면 다음 커맨드를 이용합니다. (아래 결과는 변경 전의 값입니다)
$ systemctl get-default
multi-user.target
참고자료
GDM (GNOME Display Manger)이란?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GDM의 주요 기능
- 사용자 로그인 관리 : 그래픽 로그인 화면(GUI) 제공, 여러 사용자 계정 관리, 자동 로그인 설정 지원
- 세션 관리 : GNOME, Xfce, KDE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 실행 지원, X11 및 Wayland 세션 지원, 다중 세션 실행 지원
- 보안 및 접근성 기능 : 로그인 실패 시 지연(브루트포스 방지), 화면 읽기, 고대비 테마 등 접근성(Accessibility) 지원
- 다중 사용자 및 원격 로그인 : 여러 사용자가 동일 시스템에서 동시 로그인 지원, XDMCP(원격 로그인) 지원
- 시스템 서비스 통합 : systemd 및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과 통합, gdm.service를 통해 관리 지원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늘 그만큼 늘 까먹습니다. 나이가 드니 간단한 커맨드 한줄도 검색엔진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사용하기 어려워지죠. 에휴... 어쩌다 이렇게까지 되었나 싶네요...
그러다... 어쩌면 미래에는 이런 상황이 정상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즉, 이런 사소한 것까지 기억하는 사람들이 별종처럼 여겨지는 그런 세상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아서죠. 문득, 미국으로 이민을 간 한국 초등생이 학교에서 간단한 산수 계산을 암산으로 빨리 해서 주변 아이들로부터 놀라움의 대상이 되었던 영상이 떠올랐습니다. 어떤게 정상인지는 속해 있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겠죠. 시대는 역시 편리함을 추구하는 쪽으로 변해갈테니 다시 위안을 삼아 봅니다. :-)
'기술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을 위한 실시간 통신 라이브러리, FastRTC (0) | 2025.02.27 |
---|---|
[우분투] Terminator 창 크기 resize 안 되는 오류 해결 방법 (1) | 2025.02.27 |
[Python] 차집합을 이용해서 목록에서 없는 요소 추출하기 (1) | 2025.02.13 |
[윈도우팁] 탐색기에서 svg 파일 미리보기 (0) | 2025.02.07 |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혁신적인 무료 교육 플랫폼 (1)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