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픈소스
- 인공지능
- OpenAI
- 우분투
- PYTHON
- ChatGPT
- 티스토리챌린지
- LORA
- LLM
- 이미지 생성
- 확산 모델
- OpenCV
- 시간적 일관성
- 오블완
- AI
- AI 기술
- 멀티모달
- 일론 머스크
- 트랜스포머
- 강화 학습
- 오픈AI
- 생성형 AI
- 다국어 지원
- 딥러닝
- 아두이노
- TRANSFORMER
- tts
- 실시간 렌더링
- 메타
- 휴머노이드 로봇
- Today
- Total
AI 탐구노트
업무자동화를 위한 오픈소스 No Code 도구 : n8n vs Langflow 본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과 개인은 빠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 개발자를 확보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 면에서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코드(No-Code) 도구는 코딩 지식 없이도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업무 자동화를 위한 No-Code 도구 가운데 잘 알려진 것으로 Make, n8n이 있습니다. 주로 IoT 기기 관리나 원격으로 업무를 관리할 때 자동화 도구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또, AI 기반 LLM 워크플로우 관리를 위주로 하는 LangFlow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8n과 LangFlow 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비교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ake는 유료라 일단 제외했습니다. ^^;
1.No-Code 도구 = 자동화 프레임워크
No-code 자동화 프레임워크는 프로그래밍 없이 시각적 인터페이스(드래그 앤 드롭, 워크플로우 빌더 등)를 통해 자동화 규칙과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No-Code 도구의 주요 특징
No-Code 도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친화성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IT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접근 가능하며, 미리 정의된 템플릿과 모듈을 활용해 빠른 구성 가능
- 통합 기능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API와 연동할 수 있어 여러 시스템 간의 데이터 흐름을 자동화
- 확장성 :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워크플로우를 쉽게 수정 및 확장할 수 있음
- 비용 효율성 : 개발 인력을 추가로 고용할 필요 없이 자동화를 통해 운영 비용 절감 가능
즉,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이디어를 빠르게 현실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는 것이죠. 이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조직이 최소 기능 제품(MVP)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시장에 출시할 수 있게 도울 수도 있습니다. 비개발자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할 수 있어 조직 내 혁신과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No-Code 도구 주요 활용 사례
- 케팅 자동화 : 이메일 캠페인, 소셜 미디어 포스팅, 고객 세분화 등 반복적인 마케팅 업무 자동화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 주문 처리, 고객 지원 티켓 관리, 재고 관리 등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
- 데이터 통합 및 보고 :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 통합하여 대시보드나 리포트 생성
No-Code 도구 예시
- 지멘스사의 멘딕스 : 기업용 노코드 솔루션입니다. 기업에서 도입 후 기존에는 업무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었다면 이 솔루션을 도입한 후부터는 약간의 교육만 받고 현업 담당자가 직접 업무 어플리케이션을 멘딕스 플랫폼 상에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삼성, LG 그룹사에서 도입해서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Microsoft의 Power Automate : Microsoft 생태계와의 통합이 강점인 플랫폼으로,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지원
- Integromat의 Make : 복잡한 데이터 흐름과 조건부 로직을 시각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도구
- IFTTT : 간단한 조건 기반 자동화 규칙을 통해 스마트 홈 기기와 앱을 연동
2.n8n 과 Langflow
n8n과 Langflow라는 두 도구를 소개합니다. 이 둘은 모두 브라우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해당 개발사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참 고맙게도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환경을 구성해 로컬에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n8n
- 목적 : 코드 없이 다양한 앱(예: Slack, Google Sheets 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는 도구
- 주요 기능 :
- Node 기반의 시각적 인터페이스(드래그 앤 드롭)를 통한 워크플로우 구축
- 조건문, 반복문 지원, 수백 개의 API 및 서비스와 통합 가능
- 사용자 정의 코드 지원으로 유연성과 확장성 제공
- 적합한 사용자 : 개발자, 비즈니스 팀 등 일반적인 업무 자동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
- 가격 : 무료로 자체 호스팅 가능하며, 클라우드 플랜은 월 약 $20부터 시작
2) Langflow
- 목적 :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된 오픈소스 로우코드 플랫폼. 특히, 대형 언어 모델(LLM) 및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개발에 초점을 맞춤
- 주요 기능 :
-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
- LLM, 프롬프트, API 체인 구성, 시각적 디버깅, 벡터 데이터베이스 및 임베딩 지원
- LangChain, HuggingFace 등의 플랫폼과 통합
- 적합한 사용자 :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엔지니어 등 AI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려는 사용자에게 적합
- 가격 : 오픈 소스로 무료 제공되며, 사용자는 직접 자체 호스팅 및 배포 필요
n8n과 Langflow는 약간 용도가 달랐습니다. 즉, n8n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간의 일반적인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하며, Langflow는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LLM 워크플로우 관리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도구였죠. 그러므로 어떤 것이 좋다 나쁘다가 핵심이 아니라 자신이 하려는 업무 용도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상에 환경 구성을 해 둘 수 있으면 훨씬 더 좋을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개인이 그렇게 하기에는 계속 운영하기 위해선 과도한 비용 발생할 것 같네요. 저사양 엣지장비에서 구동되어 상시 동작 가능하면 좋을텐데... 아쉽습니다. 아무래도 AI 쪽은 어렵겠고 IoT 센서 자동화에 이용하도록 n8n을 별도로 구성해서 테스트 좀 해 봐야겠습니다.
3.참고 자료
'AI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ffusion Self-Distillation(DSD) : 확산모델 활용한 제로샷 맞춤형 이미지 생성 (0) | 2025.03.11 |
---|---|
QwQ-32B : 강화 학습을 통한 대규모 언어 모델의 지능 향상 (0) | 2025.03.11 |
GLM(Grounded Language Model) : 정확성 높은 RAG 2.0 기반 언어모델 (0) | 2025.03.09 |
Phi-4 : Mixture-of-LoRAs를 활용한 강력한 멀티모달 언어 모델 (0) | 2025.03.08 |
DiffRhythm : 빠르고 일관성있는 혁신적인 음악 제작 기술 (1)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