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구노트

업무자동화를 위한 오픈소스 No Code 도구 : n8n vs Langflow 본문

AI 기술

업무자동화를 위한 오픈소스 No Code 도구 : n8n vs Langflow

42morrow 2025. 3. 10. 16:36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과 개인은 빠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 개발자를 확보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 면에서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코드(No-Code) 도구는 코딩 지식 없이도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업무 자동화를 위한 No-Code 도구 가운데 잘 알려진 것으로 Make, n8n이 있습니다. 주로 IoT 기기 관리나 원격으로 업무를 관리할 때 자동화 도구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또, AI 기반 LLM 워크플로우 관리를 위주로 하는 LangFlow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8n과 LangFlow 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비교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ake는 유료라 일단 제외했습니다. ^^;


1.No-Code 도구 = 자동화 프레임워크

No-code 자동화 프레임워크는 프로그래밍 없이 시각적 인터페이스(드래그 앤 드롭, 워크플로우 빌더 등)를 통해 자동화 규칙과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No-Code 도구의 주요 특징

No-Code 도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친화성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IT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접근 가능하며, 미리 정의된 템플릿과 모듈을 활용해 빠른 구성 가능
  • 통합 기능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API와 연동할 수 있어 여러 시스템 간의 데이터 흐름을 자동화
  • 확장성 :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워크플로우를 쉽게 수정 및 확장할 수 있음
  • 비용 효율성 : 개발 인력을 추가로 고용할 필요 없이 자동화를 통해 운영 비용 절감 가능

 

즉,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이디어를 빠르게 현실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는 것이죠. 이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조직이 최소 기능 제품(MVP)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시장에 출시할 수 있게 도울 수도 있습니다. 비개발자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할 수 있어 조직 내 혁신과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No-Code 도구 주요 활용 사례

 

  • 케팅 자동화 : 이메일 캠페인, 소셜 미디어 포스팅, 고객 세분화 등 반복적인 마케팅 업무 자동화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  주문 처리, 고객 지원 티켓 관리, 재고 관리 등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
  • 데이터 통합 및 보고 :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 통합하여 대시보드나 리포트 생성

 

 

No-Code 도구 예시 

  • 지멘스사의 멘딕스 : 기업용 노코드 솔루션입니다. 기업에서 도입 후 기존에는 업무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었다면 이 솔루션을 도입한 후부터는 약간의 교육만 받고 현업 담당자가 직접 업무 어플리케이션을 멘딕스 플랫폼 상에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삼성, LG 그룹사에서 도입해서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Microsoft의 Power Automate : Microsoft 생태계와의 통합이 강점인 플랫폼으로,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지원
  • Integromat의 Make : 복잡한 데이터 흐름과 조건부 로직을 시각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도구
  • IFTTT : 간단한 조건 기반 자동화 규칙을 통해 스마트 홈 기기와 앱을 연동

2.n8n 과 Langflow 

n8nLangflow라는 두 도구를 소개합니다. 이 둘은 모두 브라우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해당 개발사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참 고맙게도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환경을 구성해 로컬에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n8n 

  • 목적 : 코드 없이 다양한 앱(예: Slack, Google Sheets 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는 도구
  • 주요 기능 :
    • Node 기반의 시각적 인터페이스(드래그 앤 드롭)를 통한 워크플로우 구축
    • 조건문, 반복문 지원, 수백 개의 API 및 서비스와 통합 가능
    • 사용자 정의 코드 지원으로 유연성과 확장성 제공
  • 적합한 사용자 : 개발자, 비즈니스 팀 등 일반적인 업무 자동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
  • 가격 : 무료로 자체 호스팅 가능하며, 클라우드 플랜은 월 약 $20부터 시작

그림 : n8n과 Crawl4AI를 이용한 사례 소개 영상 (화면 캡처)

 

2) Langflow

  • 목적 :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된 오픈소스 로우코드 플랫폼. 특히, 대형 언어 모델(LLM) 및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개발에 초점을 맞춤
  • 주요 기능 :
    •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
    • LLM, 프롬프트, API 체인 구성, 시각적 디버깅, 벡터 데이터베이스 및 임베딩 지원
    • LangChain, HuggingFace 등의 플랫폼과 통합
  • 적합한 사용자 :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엔지니어 등 AI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려는 사용자에게 적합
  • 가격 : 오픈 소스로 무료 제공되며, 사용자는 직접 자체 호스팅 및 배포 필요

 

 

 

그림 : Langflow를 이용해 Agentic RAG를 구성하는 과정 설명 예시 (화면 캡처)

 

 


n8n과 Langflow는 약간 용도가 달랐습니다. 즉, n8n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간의 일반적인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하며, Langflow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LLM 워크플로우 관리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도구였죠. 그러므로 어떤 것이 좋다 나쁘다가 핵심이 아니라 자신이 하려는 업무 용도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상에 환경 구성을 해 둘 수 있으면 훨씬 더 좋을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개인이 그렇게 하기에는 계속 운영하기 위해선 과도한 비용 발생할 것 같네요. 저사양 엣지장비에서 구동되어 상시 동작 가능하면 좋을텐데... 아쉽습니다. 아무래도 AI 쪽은 어렵겠고 IoT 센서 자동화에 이용하도록 n8n을 별도로 구성해서 테스트 좀 해 봐야겠습니다. 

 

 


3.참고 자료

  • 코드) Langflow 깃헙 (링크)
  • 문서) Langflow 문서화 페이지 (링크)
  • 사이트) n8n 공식 페이지 (링크)
  • 코드) n8n 깃헙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