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픈소스
- 시간적 일관성
- 오픈AI
- 3d 재구성
- 인공지능
- ai 챗봇
- 강화 학습
- 오블완
- 딥러닝
- 확산 모델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XAI
- 트랜스포머
- 다국어 지원
- ubuntu
- 실시간 렌더링
- OpenAI
- LORA
- 일론 머스크
- LLM
- ChatGPT
- 휴머노이드 로봇
- OpenCV
- 우분투
- tts
- 코딩
- AI 기술
- 메타
- AI
- Today
- Total
AI 탐구노트
노래 악보 만들어보기 - 1편 본문
Python으로 악보를 만들어서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나중에는 다른 사람의 연주 음악을 듣고 그걸 악보로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싶거든요.
검색 & 조사
음악을 작곡, 생성하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할만한 것들을 찾아봤습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이 아래의 2가지더군요.
- music21
- 음악 이론 분석과 작곡을 위한 Python 툴킷
- 음악 노트, 코드, 파트 처리 및 MIDI 분석 및 생성 지원
- MuseScore (Studio)
- 전문가 수준의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
- 오픈소스, 무료이면서도 기능 제한 없음
- 피아노, 기타, 등 다양한 악기 전용 기능들 제공
- MusicXML, MIDI 등 다양한 포맷 지원하고 다른 악보 소프트웨어와의 데이터 호환 보장
- Windows, Mac, Linux 등 다양한 OS 지원
환경 구성
우선 사용하기 위한 환경 구성을 해 봅니다.
1.MuseScore 설치
music21을 이용해 악보를 객체로 생성해도 이를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편집할 수 있기 위해서는 MuseScore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합니다. 다른 툴도 되겠지만, 기능많고 가장 많이 사용하고 완전 무료고... 그래서 MuseScore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우분투에서 MuseScore의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 Deb 패키지로 다운 받아 설치
- AppImage 파일로 다운받아 사용 (& 설치)
- apt 패키지를 이용한 설치
Deb 패키지나 AppImage 파일은 MuseScore 공식사이트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Free Download'라고 되어 있는 부분에서 OS플랫폼 별로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합니다.
혹은 이렇게 설치 하는 것 자체가 싫다 하시는 분은 MuseScore AppImage (단일 패키지 실행파일)을 다운받으셔도 됩니다. 제 경우도 패키지 설치 대신 AppImage로 다운 받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사용하실 때는, 파일 속성에서 실행가능(우클릭 Properties에서 'Executable as Program')하게 변경하는 작업만 해서 사용하시거나 예전에 소개했던 자동 등록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우분투 : AppImage 데스크톱 바로가기 만들기
AppImage는 리눅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개의 파일 안에 필요한 모듈을 다 포함한 SW 패키징입니다.윈도우로 따지면 exe 파일인 셈인데 부가적으로 필요한 dll 같은 것들
42morrow.tistory.com
위 방식보다 좀 더 단순한 방법으로는, 단독 실행파일 형태인 AppImage로 받았지만 설치를 하고 싶다 하시면 아래와 같이 진행하셔도 됩니다.
$ ./MuseScore-Studio-4.4.2.242570931-x86_64.AppImage install
이렇게 하시면 설치가 되는데, 아래 위치에 실행 파일이 생성됩니다.
/home/<사용자계정>/.local/bin/mscore4portable
2.music21 패키지 설치
Python에서 사용하기 위해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pip install music21
이제 music21에서 생성된 음악을 악보 등으로 보여주거나 연주하기 위해, 앞서 설치했던 museScore하고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아래 코드를 실행합니다.
코드 상에서 MuseScore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식을 취하거나
from music21 import environment as env
env.set('musicxmlPath','/home/sol/.local/bin/mscore4portable')
env.set('musescoreDirectPNGPath','/home/sol/.local/bin/mscore4portable')
시스템 환경변수에 등록해두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 ~/.bashrc 파일 내 설정)
export musicxmlPath=/home/sol/.local/bin/mscore4portable
export musescoreDirectPNGPath=/home/sol/.local/bin/mscore4portable
이렇게까지 하고 나면 일단 음악 악보를 만들기 위한 준비는 끝났습니다.
다음 번 글에서는 music21을 사용하는 방법과 MuseScore로 내보내서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정리해서 공유하겠습니다.
'DIY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dshot Tracking 따라하기 - 2편 (8) | 2024.10.14 |
---|---|
서보모터 (SG90 스탠다드) 테스트 (2) | 2024.10.14 |
나만의 썸네일 메이커 만들기 - 2편 (1) | 2024.10.11 |
썸네일 메이커 Electron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기 (1) | 2024.10.09 |
AudioCraft를 이용한 효과음 만들어 보기 (5)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