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트랜스포머
- 오픈소스
- AI 기술
- 생성형 AI
- 일론 머스크
- OpenCV
- 실시간 렌더링
- AI
- LLM
- 인공지능
- 딥러닝
- 오픈AI
- 휴머노이드 로봇
- 강화 학습
- 코딩
- tts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PYTHON
- 우분투
- ChatGPT
- 3d 재구성
- 다국어 지원
- LORA
- gradio
- ubuntu
- OpenAI
- 메타
- 확산 모델
- 시간적 일관성
- Today
- Total
AI 탐구노트
포털 플랫폼에서 인기 검색어 추출 방식 조사 본문

현대 사회에서 정보의 흐름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람들의 관심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개인이나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 제작, 제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최신 트렌드와 대중의 관심사를 반영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검색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 분석 능력도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 시장 동향 분석, 사용자 경험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검색 플랫폼의 인기 검색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대중의 관심사를 반영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을 읽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과 네이버를 중심으로 검색 플랫폼에서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사람들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변화하는 트렌드를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과 기업이 어떻게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트렌드 조사 방식
과거에는 설문조사나 인터뷰, 혹은 신문기사 분석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통해 대중의 관심사를 파악하곤 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어렵고, 표본의 한계로 인해 전체적인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검색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대중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관심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트렌드 사용 용도
- 마케팅 전략 수립 : 기업들은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마케팅 캠페인을 기획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에 맞춰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등의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제작 : 블로거나 유튜버 등 콘텐츠 제작자들은 인기 검색어를 참고하여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조회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트렌드 정보 제공 플랫폼
구글의 'Google Trends'와 네이버의 '데이터랩'은 사용자들이 어떤 검색어를 많이 입력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 둘은 각각 Global과 국내의 대표 검색 플랫폼입니다.
- Google Trends (링크) : 구글 트렌드는 특정 기간 동안의 검색어 빈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키워드의 인기도 추이를 확인하고, 지역별 관심도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데이터랩 (링크) : 네이버 데이터랩은 네이버 사용자들의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기 검색어, 연령별 관심사, 시간대별 검색 패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자사가 운영하는 쇼핑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쇼핑 인사이트도 함께 제공하고 있어 유용합니다.
트렌드 정보 이용 시 유의사항
- 데이터의 일시성 : 인기 검색어는 실시간으로 변동되므로, 특정 시점의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역적 한계 : 각 검색 플랫폼은 주로 자사 서비스가 강한 지역의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글로벌한 관점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여러 플랫폼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인기 검색어 추출 방식 종류
방법을 찾아보니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 가운데 하나를 채택하고 있었습니다.
- 포털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는 방법
- 공식 지원이라 가장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Naver 데이터랩은 Open API로 제공 중 (링크)이며 1000회/일로 사용 횟수 제한이 있음
- Google Trends 의 경우는 공식 API가 제공되지 않음 -> 3rd Party 유료 서비스나 pytrends 등을 이용
- 비공식 API (3rd Party 혹은 오픈소스)를 이용하는 방법
- 구글 Trends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비공식 API 로 pytrends, google-trends-api 같은 것이 있음
- Google 쪽 백엔드의 end point가 변경되어 호출이 실패하거나 부정확한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음
- 상용 서비스의 경우 (예: Glimpse, oxylabs 등에서 제공하는 API)은 대부분 유료임
- 구글 Trends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비공식 API 로 pytrends, google-trends-api 같은 것이 있음
- Beautifulsoap를 이용해 정보를 가진 사이트의 html을 크롤링해서 분석하는 방법
- 크롤링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임
- 개별적으로 분석 로직을 생성해야 하며 URL의 end point 변경 시마다 수정 필요
- 포털에서 제공하는 RSS 피드를 이용하는 방법
-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화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음
- 기간, 카테고리 등등 원하는 조건으로 필터링하기 어려움 (예: Google Trends의 RSS 피드는 최근 4시간 것을 제공하고 있었음)
Google Trends 인기 검색어 추출 예시
Google의 경우, Google Trends에서 인기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화면은 브라우저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Google Trends의 화면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내보내기'에서 선택가능한 'CSV 다운로드', '클립보드에 복사', 'RSS 피드' 3가지 옵션 가운데 하나를 이용해야 합니다.
1) CSV 다운로드
다음은 csv 파일로 받은 결과입니다. 오호... 생각보다 깔끔하게 잘 나옵니다. csv파일로 다운 받기 위한 URL 상에 필터도 걸 수 있습니다. 다만, 바로 URL를 이용하는게 아니라 메뉴 선택을 하는 javascript를 통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클립보드에 복사
클립보드로 가져온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가정보 없이 딱 키워드만 간단하게 잘 뽑아줍니다.

3) RSS 피드
RSS 피드 받기를 해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실제 이 내용은 최근 4시간 인기 검색어 목록으로 위의 화면 내용과는 전혀 다릅니다. 이유는 화면에서는 24시간으로 해 놨는데 RSS는 최근 4시간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yTrends를 이용하는 방식
블로그 등에 가장 많이 소개되어 있는 방식인데 현재 이 방식은 구글 쪽 백엔드의 End Point 변경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Forum에 들어가서 보면 어찌저찌하면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 (필요하시다면 각자 해 보시길...)
참고자료
- Google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kr/trends/
-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Q&A
Q. Google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Google 트렌드는 전 세계적인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역과 언어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는 반면, 네이버 데이터랩은 주로 한국 내 사용자들의 검색 데이터를 상세하게 제공합니다. 따라서 분석하려는 대상 지역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분야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나요?
마케팅, 콘텐츠 제작, 제품 개발, 시장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대중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Q. 인기 검색어 데이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나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함께 활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검색 플랫폼의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소셜 미디어의 트렌드 데이터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폭넓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DIY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DI를 이용한 3D 객체 생성 테스트 (2) | 2025.03.17 |
---|---|
Zonos TTS로 음성 복제 및 문장 생성 테스트 (2) | 2025.03.16 |
DIY로 물고기 먹이 급여기 만들어보기 (0) | 2025.01.27 |
CCTV 영상에서의 대기자 수 및 대기 시간 측정 (0) | 2025.01.19 |
MeloTTS : CPU로도 실시간 음성합성을 지원하는 경량 TTS 모델 (1) | 2025.01.18 |